Skip to main content

태음태양력 목차 사주의 구분 시간과 하루 월령 절기 윤달과 1 년 세차 미래 각국의 태음태양력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둘러보기 메뉴설(tet)Archived10간과 12지의 최소공배수는 60태양의 팔자걸음Archived元宵节的历史小正月とは2006년 설날 날짜..."휴대전화를 믿지 마세요"양력 음력 변환 계산eheh

태음력태음태양력태양력중국력에티오피아력히브리력이슬람력유닉스 시간아시리아력바하이력베르베르력불멸기원중국력지지천간사카조로아스터이슬람력한국주체마야 달력율리우스력교회력정교회성인아티케력바빌로니아력프랑스 혁명력잉카마야촐킨루미력투르크메니스탄역법 개혁국제고정력세계력벽존호0년로마 건국 원년연호민국기원일본의 연호한국의 연호베트남의 연호시간영원불로장생영생깊은 시간역사과거현재미래미래학천문연대학지질시대지질학적 역사지질연대학연대 측정법기년법연호연대기연표인과관계영원회귀사건인속 이론편속 이론4차원주의시간생물학일주기 생체 리듬미래학시간 사용 연구공간타임 캡슐시간 여행박자 기호시스템 시간미터법 시간 단위16진 시간 표기법카르페 디엠


태음태양력


역법태음력달윤달중국한국일본베트남그레고리력설날메이지 유신간지한나라간지사주무령왕릉무령왕한국어앙부일구해시계자격루물시계진태양시아날렘마균시차황도본초자오선협정 세계시모래시계세종황경태초력정월대보름추석원소절추수감사절어린이날명절입춘황경황도경도춘분우수원타원근일점원일점청나라시헌력한식망종삼복천자문메톤 주기2015년2월 19일2016년2월 7일을미년회갑만유인력조석력삼국시대한국중국












태음태양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태음태양력(太陰太陽曆)은 달과 태양의 움직임을 모두 고려하여 만든 역법으로 날짜의 계산은 달의 차고 기욺을 기준으로 하고, 계절의 변화는 태양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한다. 한국에서 음력이라고 하면, 태음력이 아닌 태음태양력을 가리킨다.[1]


태음태양력은 달의 삭망월 주기를 기준으로 한 달을 삼는다. 보름에서 보름까지인 달의 삭망월 주기는 29.5306일이기 때문에 큰 달은 30일, 작은 달은 29일로 정하였다. 이렇게하여 12개월을 1년으로 하면 354 일이 되어 실제 지구의 공전주기인 365.242199 에 비해 약 11일이 부족하다. 이 때문에 태음태양력은 윤달을 만들어 계절과 달력을 맞춘다. 윤달은 19년에 7번 돌아온다.[2]


태음태양력은 고대부터 중국, 한국, 일본, 베트남 등 동아시아에서 사용되어 왔다. 이들 나라는 근래에 흔히 양력이라고 부르는 그레고리력을 공식 역법으로 채택하고 있으나, 설날을 비롯한 전통 명절은 태음태양력에 맞추어 쇠고 있다.[3] 한편, 일본은 메이지 유신 이후 명절도 모두 양력으로 쇤다.[4]


시간과 날, 달, 해는 간지를 붙여 구분한다. 간지는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의 10간과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의 12지로 이루어져 60 주기마다 다시 같은 간지를 맞게 된다. 간지는 정확한 연원을 알 수 없을 정도로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일반적으로 한나라 시기에 완성되었다고 보고 있다.[5] 이렇게 네 가지의 간지로 구분되는 시각을 사주라고 한다.




목차





  • 1 사주의 구분


  • 2 시간과 하루


  • 3 월령


  • 4 절기


  • 5 윤달과 1 년


  • 6 세차


  • 7 미래


  • 8 각국의 태음태양력

    • 8.1 한국


    • 8.2 그밖의 지역



  • 9 같이 보기


  • 10 각주


  • 11 외부 링크




사주의 구분


태음태양력의 시간 단위인 시(時), 일(日), 월(月), 연(年)에는 간지를 붙인다. 일에 붙이는 간지를 일진이라하고, 월에 붙이는 것은 월건, 연에 붙이는 것은 세차라고 한다. 이렇게 나타내는 시각을 사주(四柱)라고 한다. 무령왕릉 표지석에는 백제 무령왕의 사망일을 “계묘년 5월 병술 삭 7일 임진”이라고 표기하고 있는데, 차례대로 세차는 계묘, 월건은 병술, 일진은 임진이며 이 날이 5월 초이레라는 뜻이다.[6]


시각을 나타낼 때 사주를 사용하는 것은 언어생활에도 영향을 주어 한국어에는 “일진이 사납다”라는 표현이나, 축문의 시작을 “유세차 …”로 하는 것과 같은 관습이 남아있다. 또한 간지는 10간과 12지를 합쳐 두글자로 나타내므로 사주는 여덟자로 나타내게 된다. 이를 사주팔자(四柱八字)라고 하며 간단히 팔자라고도 한다. 태양태음력을 사용하는 문화권에서는 태어난 시각이 그 사람의 운세에 영향을 준다는 믿음이 있어 사람의 타고난 운수나 분수를 팔자라고 부른다.[7] 한국어에는 “팔자가 세다”라거나 “팔자를 고쳤다”는 표현이 있다.



시간과 하루




조선시대의 해시계 앙부일구


태음태양력은 하루를 열둘로 나누어 12지에 대응하였다. 오늘날의 24시간 체계와 대비하면 자정은 그 첫 번째인 자시가 되고 정오는 6번째인 오시가 된다. 하루의 시간은 아래의 표와 같다.





























태양태음력 시각표
12지
24시간23 ~ 11 ~ 33 ~ 55 ~ 77 ~ 99

~


11


11 ~ 1313 ~ 1515 ~ 1717 ~ 1919 ~ 2121 ~ 23

시간을 측정하는 장치로는 앙부일구와 같은 해시계나 자격루와 같은 물시계가 사용되었다.[8] 해시계는 태양이 남중할 때를 정오로 측정하는 진태양시를 사용한다. 따라서 오늘날의 표준시간인 평균태양시와는 계절에 따라 차이를 보이게 된다. 평균태양시를 사용하여 매일 같은 시각에 같은 장소에서 태양을 관측하면 태양의 위치가 일년을 주기로 8자 모양을 그리게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를 아날렘마라고 한다. 평균태양시와 진태양시의 차이를 균시차라고 하는데, 균시차가 나타나는 이유는 지구의 자전축이 황도에 비해 약 23.5˚ 정도 기울어져 있어 계절에 따라 남중 시각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또한, 지구의 공전궤도는 타원이기 때문에 아날렘마가 보이는 8자 모양의 고리도 양쪽의 모양이 같지 않고 한 쪽이 길게 된다.[9]


근대 이전에는 본초자오선의 개념이 없었기 때문에 이렇게 측정된 시각은 측정 지역의 지방시일 뿐이어서 진태양시와 평균태양시 어느 것도 오늘날의 협정 세계시와는 일치하지 않는다. 협정 세계시는 약속된 자오선을 기준으로 시각을 정하는데 대한민국의 경우 동경 135˚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10] 근대 이전의 사회는 동시성을 요구하는 일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지방마다 한 두 시각의 차이가 나는 것은 그리 문제가 되지 않았다.


해시계의 가장 큰 단점은 그림자를 관측할 수 없는 흐린 날이나 일몰 이후의 시간을 측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해시계의 단점 때문에 시간을 재는 보조 기구로서 모래시계나 물시계가 쓰였다. 동아시아에서는 주로 일정한 양의 물을 계속하여 흘려 보내는 유압식 물시계가 쓰였는데, 고대 중국에서 시작된 이러한 형식의 물시계는 7세기에 이미 백제와 일본에서 사용된 기록이 있다.[11]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자격루 역시 유압식 물시계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세종 16년에 처음 세워졌다.[12]



월령




삭망월 주기


보름달에서 다시 보름달이 되는 삭망월 주기는 29.5306일이다. 이는 달의 실제 공전주기인 27.322 일보다 조금 더 긴데,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는 동안 지구 역시 태양의 주위를 공전하고 있어서 달이 다시 보름이 되려면 조금 더 돌아야 하기 때문이다. 달의 위치는 황경을 기준으로 정하는 데 황경 0˚ 즉 태양과 달의 위치가 같을 때를 삭(朔) 즉 초하루로 하고 90˚일 때를 상현, 180˚일 때를 망(望) 즉 보름, 270˚일 때를 하현이라 한다.[13] 달과 해의 황경이 같아지는 음력 초하룻날로부터 헤아리는 날짜를 월령이라고 한다.[14]


태음태양력의 월령은 큰 달은 30일, 작은 달은 29일이다. 큰 달과 작은 달은 번갈아 반복되는데 이는 삭망월 주기를 29.5일로 산정한 것이다. 태양태음력은 은나라 때 이미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나 초기에는 삭망주기에 대한 관측 정확도가 부족하여 오차가 많았다. 비교적 정확한 삭망주기의 계산은 한나라 시기에 제작된 태초력에서 정립되었는데, 294381displaystyle 29tfrac 4381일로 계산하여 삭망주기를 29.530864일로 삼았다.[15] 한 해에는 열두 달이 있다. 숫자로 나타낼 때에는 1월, 2월, ... 12월 과 같이 쓰지만, 1월은 정월, 11월은 동짓달, 12월은 섣달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달의 변화를 기준으로 한 역법을 가진 문화에서 보름과 그믐은 다른 날 보다 중요하게 여겨진다. 보름중에서도 1년의 첫 보름인 정월대보름과 추수철인 추석은 중요한 명절로 여겨져 왔다. 대보름은 상원(上元)이라고도 하는데 한국에서는 오곡밥을 지어 먹고 부럼을 먹으며 무병장수를 빈다.[16] 한편, 중국에서는 이날을 원소절로 기리고[17] 일본에서도 '고쇼우가츠(小正月)'라고 부르며 팥죽을 쑤어 먹는다.[18] 팔월 보름인 추석 역시 중요한 명절로 한국에서는 추수감사절과 같은 의미를 지니며, 베트남에서는 이 날을 어린이날로 여긴다.[19] 월령에 따른 명절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태음태양력의 명절
이름날짜이름날짜
설날1월 1일정월대보름1월 15일
영등날2월 1일삼짇날3월 3일
초파일4월 8일단오5월 5일
유두6월 15일칠석7월 7일
백중7월15일추석8월 15일
중양절9월 9일섣달 그믐12월 그믐


절기





황도와 절기


태음태양력에서는 달의 운행과 병행하여 태양의 위치 역시 역법 계산의 중요한 요소가 된다. 절기는 태양의 위치에 따라 24개로 나누는데 일년의 첫 절기인 입춘을 기준으로 홀수 절기는 중, 짝수 절기는 절로 구분하기도 한다. 절기는 황경을 15˚ 간격으로 나누어 24개의 지점을 설정한 것이다. 황경은 태양의 연간 겉보기 운동 궤도인 황도를 세로로 횡단한 경도로 춘분을 0˚로 삼는다. 태양이 정확히 황경 0˚에 다다르는 날을 춘분입기일이라 하며, 다음 절기인 우수가 되기 전 까지의 기간 역시 춘분이라고 한다.[20]























































24 절기
황경절기황경
절기
315°입춘135°
입추
330°우수150°
처서
345°경칩165°
백로
춘분180°
추분
15°청명195°
한로
30°곡우210°
상강
45°입하225°
입동
60°소만240°
소설
75°망종255°
대설
90°하지270°
동지
105°소서285°
소한
120°대서300°
대한

황도를 기준으로 태양의 운행을 계산하면 24절기가 돌아오는 주기는 태양력의 것과 같이 365.242199 일이 된다. 한나라 시기에 제작된 태초력은 이 주기를 3653851539displaystyle 365tfrac 3851539일로 계산하여 365.25016일로 보았다.[15] 이 때문에 태양력에서는 언제나 비슷한 날짜에 절기가 돌아오지만, 태음태양력은 달의 삭망만을 따져 월령을 계산하므로 절기가 돌아오는 날짜는 일정하지 않게 된다.


절기를 산정하는 방법은 1 주기를 평균하여 15.218425일씩 더하여 계산하는 평기법이 오랫동안 쓰였다. 그러나, 지구의 공전궤도는 완벽한 원이 아니라 타원이기 때문에 근일점에서는 절기가 빠르게 변하고 원일점에서는 느리게 변하게 된다. 청나라 시기에 만들어진 시헌력은 이러한 차이를 감안하여 절기 사이의 길이를 조정하였다.[5]


농사와 같이 계절의 변화와 연관이 깊은 일에는 날짜보다는 절기가 더 중요하였다. 절기를 기준으로한 세시 풍습에는 한식, 망종, 삼복과 같은 것이 있다.



윤달과 1 년



태양태음력은 윤달을 사용하여 절기와 월령을 맞춘다. 천자문에 있는 윤여성세(閏餘成歲)라는 구절이 이를 뜻한다.


달의 삭망월 주기를 기준으로 한 큰 달 6개월과 작은달 6개월을 합한 1년의 길이는 354일로서 절기의 순환에 비해 11일 정도이 부족하다. 이러한 오차가 누적되면 3년이 못되어 1달 이상의 차이를 보이게 되므로 절기와 월령을 맞추려면 윤달을 넣어야 한다. 윤달을 넣는 규칙으로는 무중치윤법(無中置閏法)이 사용되는데 24 절기 가운데 중기가 들지 않는 달을 윤달로 삼는 것이다.[21] 윤달은 보통 19년에 7번씩 들어간다. 이렇게 19년마다 태음태양력과 태양력이 일치되는 주기를 메톤 주기라고 한다.[22] 절기가 태양력에서 비교적 같은 날짜에 돌아온다고 하더라도 태음태양력이 윤달을 사용하기 때문에 수식을 사용하여 두 날짜를 환산할 수 없다. 따라서 태음태양력의 날짜를 태양력으로 환산하는 것은 일대일로 대입하여 계산할 수 밖에 없다.[21] 태음태양력의 1 년은 평년의 경우 354일, 윤달이 있을 경우 383 ~ 384일이 된다. 일년의 길이가 일정치 않은 것은 태음태양력의 가장 큰 약점이다.[23]


한국과 중국, 베트남은 같은 원리의 태음태양력을 사용하지만 자오선이 다르기 때문에 설날이 다른 날에 올 수 있다. 1914년부터 2099년 사이의 200년 동안 중국과 한국의 설날이 하루 차이가 나는 날은 15번이 된다.[24]



세차



각 해마다 간지를 붙여 세차로 삼는다. 예를 들어 그레고리력 2015년 2월 19일부터 2016년 2월 7일까지는 을미년이다. 같은 간지가 돌아오는데 걸리는 기간은 60년으로 이를 회갑이라 한다.



미래


달과 지구 사이의 만유인력 때문에 발생하는 조석력은 지구의 자전 속도를 늦추는 힘으로 작용하며[25] 달은 매년 3 cm 정도씩 지구에서 멀어지고 있다.[26] 이는 매우 미미한 양이긴 하지만 달의 자전주기가 점차 길어진다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삭망월 주기도 길어지게 되고 태양태음력 역시 수정되게 될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수 만년 이상 계속 되어 삭망월 주기가 30일이 되면 큰 달과 작은 달의 구분 없이 태음태양력의 평년은 360일이 되고 윤달은 6년에 한 번 꼴로 돌아오게 된다.



각국의 태음태양력



한국


삼국시대 이후 한국에서 쓰인 역은 모두 태음태양력이다. 대부분 중국에서 사용되는 역법을 채택하였다.



  • 신라 - 인덕력 (麟德曆)


  • 고구려 - 인덕력


  • 백제 - 원가력 (元嘉曆)


  • 신라 - 대연력 (大衍曆), 선명력 (宣明曆)


  • 고려 - 선명력 (宣明曆), 충선왕 때에 수시력(授時曆) 채택
    • 독자적인 역법 - 고려는 십정력(十精曆), 칠요력(七曜曆), 견행력(見行曆), 둔갑력(遁甲曆), 태일력(太一曆) 등 독자적인 역법을 만들기도 하였으나, 실제로 쓰였는지는 확인되지 않는다.


    • 공민왕 19년(1370년)에 수시력의 이름을 바꾼 대통력 (大統曆) 채택



  • 조선 - 《칠정산내편》에 의해 수시력을 수정하여 사용

    • 1653년(조선 효종 4년)에 서양식 계산법을 사용한 시헌력 (時憲曆) 채택


  • 대한제국 - 태양력 (太陽曆) 채택


그밖의 지역


  • 바빌로니아 달력

  • 유대력

  • 그리스력

  • 인도력

  • 중국력


같이 보기


  • 역법

  • 태양력

  • 태음력

  • 절기

  • 윤달


각주




  1. 역사비평편집위원회, 《역사용어 바로쓰기》, 역사비평사, 2010년, ISBN 8976965183, 260쪽


  2. 김진경, 《일년이 열두 달이 된 이야기》, 문학동네, 2000년, ISBN 8982813306, 121쪽


  3. 설(tet) Archived 2012년 5월 27일 - 웨이백 머신, Vietnam Information


  4. 이정모, 《달력과 권력》, 부키, 2001년, ISBN 8985989340, 115쪽. - 일본은 메이지 5년 12월 3일(태음태양력)부터 그레고리력을 적용하여 1873년 1월 1일로 사용하였다.


  5. 조용승, 〈10간과 12지의 최소공배수는 60〉, 《과학과 기술》2005년 4월호,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6. 변희룡 외, 《일상생활의 기상학》, 시그마프레스, 2000년, ISBN 8984450332, 5쪽


  7. 표준국어대사전 - 팔자


  8. 브루스 코실니악, 장석봉 역, 《째깍째깍 시계의 역사》, 비룡소, 2006년, ISBN 894918219X, 37쪽


  9. 태양의 팔자걸음 Archived 2014년 2월 25일 - 웨이백 머신, 천문우주지식정보


  10. HANNU KARTTUNEN, 강혜성 역, 《기본 천문학(제5판)》, 시그마프레스, 2008년, ISBN 8958325364, 39쪽


  11. 전상운, 《한국과학사의 새로운 이해》, 연세대학교출판부, 1998년, ISBN 8971414294, 429쪽


  12. 전상운, 《한국과학사의 새로운 이해》, 연세대학교출판부, 1998년, ISBN 8971414294, 432쪽


  13. HANNU KARTTUNEN, 강혜성 역, 《기본 천문학(제5판)》, 시그마프레스, 2008년, ISBN 8958325364, 167쪽


  14. 표준국어대사전 - 월령1


  15. 글로벌 세계 대백과, 〈삼통력〉


  16. 《한국세시풍속사전(봄편)》, 국립민속박물관, 2005년


  17. 元宵节的历史


  18. 小正月とは? - 岩手県政策地域部NPO・文化国際課『いわての正月・小正月』


  19. 베트남플라자 편집부, 《이것이 베트남이다》, 와이미디어, 2007년, ISBN 8990104157, 300-301쪽


  20. 변희룡 외, 《일상생활의 기상학》, 시그마프레스, 2000년, ISBN 8984450332, 8쪽


  21. 변희룡 외, 《일상생활의 기상학》, 시그마프레스, 2000년, ISBN 8984450332, 7~8쪽


  22. 이정모, 《달력과 권력》, 부키, 2001년, ISBN 8985989340,150~151쪽


  23. 박성래,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서해문집, 1998년, ISBN 897483104X, 36쪽


  24. 2006년 설날 날짜..."휴대전화를 믿지 마세요", 노컷뉴스, 2005.12.10


  25. 롤프 마이스너, 이기화 역, 《지구에 관한 작은 책》, 시그마프레스, 2006년, ISBN 8958322691, 58-59쪽


  26. HANNU KARTTUNEN, 강혜성 역, 《기본 천문학(제5판)》, 시그마프레스, 2008년, ISBN 8958325364, 169쪽




외부 링크



  • 양력 음력 변환 계산, 천문우주지식정보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태음태양력&oldid=24048364"










둘러보기 메뉴


























(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PageParseReport":"limitreport":"cputime":"0.384","walltime":"0.470","ppvisitednodes":"value":4557,"limit":1000000,"ppgeneratednodes":"value":0,"limit":1500000,"postexpandincludesize":"value":59585,"limit":2097152,"templateargumentsize":"value":5220,"limit":2097152,"expansiondepth":"value":16,"limit":40,"expensivefunctioncount":"value":0,"limit":500,"unstrip-depth":"value":0,"limit":20,"unstrip-size":"value":12147,"limit":5000000,"entityaccesscount":"value":0,"limit":400,"timingprofile":["100.00% 266.373 1 -total"," 71.67% 190.897 1 틀:각주"," 54.80% 145.976 16 틀:ISBN"," 20.57% 54.801 4 틀:둘러보기_상자"," 18.60% 49.546 16 틀:Catalog_lookup_link"," 14.66% 39.042 1 틀:역법"," 11.63% 30.979 16 틀:Error-small"," 8.23% 21.922 48 틀:Yesno-no"," 5.61% 14.942 48 틀:Yesno"," 5.47% 14.568 3 틀:참조"],"scribunto":"limitreport-timeusage":"value":"0.055","limit":"10.000","limitreport-memusage":"value":1545813,"limit":52428800,"cachereport":"origin":"mw1238","timestamp":"20190619001305","ttl":2592000,"transientcontent":false););"@context":"https://schema.org","@type":"Article","name":"ud0dcuc74cud0dcuc591ub825","url":"https://ko.wikipedia.org/wiki/%ED%83%9C%EC%9D%8C%ED%83%9C%EC%96%91%EB%A0%A5","sameAs":"http://www.wikidata.org/entity/Q194235","mainEntity":"http://www.wikidata.org/entity/Q194235","author":"@type":"Organization","name":"uc704ud0a4ubbf8ub514uc5b4 ud504ub85cuc81dud2b8 uae30uc5ecuc790","publisher":"@type":"Organization","name":"Wikimedia Foundation, Inc.","logo":"@type":"ImageObject","url":"https://www.wikimedia.org/static/images/wmf-hor-googpub.png","datePublished":"2005-05-15T09:26:20Z","dateModified":"2019-04-17T02:24:21Z","headline":"ub2ecub825uc758 uc885ub958. ub2ecuacfc ud0dcuc591uc758 uc6c0uc9c1uc784uc744 ubaa8ub450 uace0ub824ud558uc5ec ub9ccub4e0 uc5edubc95"(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BackendResponseTime":150,"wgHostname":"mw1268"););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Category:9 (number) SubcategoriesMedia in category "9 (number)"Navigation menuUpload mediaGND ID: 4485639-8Library of Congress authority ID: sh85091979ReasonatorScholiaStatistics

Circuit construction for execution of conditional statements using least significant bitHow are two different registers being used as “control”?How exactly is the stated composite state of the two registers being produced using the $R_zz$ controlled rotations?Efficiently performing controlled rotations in HHLWould this quantum algorithm implementation work?How to prepare a superposed states of odd integers from $1$ to $sqrtN$?Why is this implementation of the order finding algorithm not working?Circuit construction for Hamiltonian simulationHow can I invert the least significant bit of a certain term of a superposed state?Implementing an oracleImplementing a controlled sum operation

Magento 2 “No Payment Methods” in Admin New OrderHow to integrate Paypal Express Checkout with the Magento APIMagento 1.5 - Sales > Order > edit order and shipping methods disappearAuto Invoice Check/Money Order Payment methodAdd more simple payment methods?Shipping methods not showingWhat should I do to change payment methods if changing the configuration has no effects?1.9 - No Payment Methods showing upMy Payment Methods not Showing for downloadable/virtual product when checkout?Magento2 API to access internal payment methodHow to call an existing payment methods in the registration form?